농기자재수출정보서비스로 이동

수입대체품목
년도 선택
품목선택

콩의 원산지는 한반도와 만주(滿洲) 남부로 알려져 있으며, 아시아, 유럽, 남․북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까지 전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있음.
콩 기원식물 학명은 Glycine soja 이고 재배종의 학명은 Glycine max로, 세포유전학적 연구, 형태조직학적 연구, 핵형분석, 종실단백질의 특성, 엽록체․미토콘드리아 DNA 기반 식별법 등을 토대로 기원 식별이 가능함.
콩 식물 기원은 동양에 야생하는 돌콩 (Glycine soja)으로 추정되고, 돌콩으로부터 재배종으로 발달한 것으로 추정.
한반도 전역에 야생콩이 흔하고 중간종도 발견되고 있어 만주와 한반도가 콩의 원산지일 것으로 추측한 바 있음.
식물체의 뿌리털을 통해 침입하여 뿌리혹을 형성하는 뿌리혹균 (질소 고정균, 균류균)이 콩과식물과 상호공생 관계에 있는데, 공기 중의 질소 를 고정시켜 식물체에 질소화합물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함.

□ 우리나라의 콩 수요는 연간 약 130만 톤 규모로 사료용, 가공용, 식량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수요량은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전체 수요량은 1995년 기준 156만 톤에서 2019년 135만 톤으로 감소하였으며, 2019년 기준 용도별 수요량은 식량용 9만 톤, 가공용 24만 톤, 사료용 100만 톤 규모임.

콩 수급 동향(단위 : 천톤 / 기준 : 1995-2020)
기준년도 1995 2000 2005 201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공급량 1,820 1,781 1,493 1,448 1,603 1,574 1,457 1,493 1,522 1,519
이월 231 79 118 73 147 129 88 69 121 172
생산 154 116 139 139 139 104 75 86 89 105
수입 1,435 1,586 1,236 1,236 1,317 1,342 1,294 1,338 1,312 1,242
수요량 1,558 1,694 1,420 1,381 1,474 1,486 1,388 1,370 1,350 1,404
식량 81 85 90 81 108 107 98 98 88 98
가공 321 314 351 336 315 304 237 232 239 239
(식량+가공) 402 399 441 417 423 411 335 330 327 337
사료 1,142 1,282 965 952 1,041 1,066 1,045 1,033 1,015 1,057
감모 등 14 13 14 12 11 8 7 7 8 7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양정자료(2022). 데이터 추출일자 : 2022.12.06

□ 우리나라의 콩 수입은 원물(씨앗), 가공식품(대두유), 기능성 원료(이소플라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입량과 수입액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우리나라의 대두 수입액은 2016년 597백만 달러에서 2019년 557백만 달러까지 점차 감소하다가, 2020년 604백만달러로 반등하였음.
○ 수입량은 2016년 1,327천 톤에서 2018년 1,240천 톤까지 감소하다가 2020년까지 1,328천 톤으로 다시 증가함.

우리나라 콩(대두) 수입 동향(수입액 기준) (2016-2020)
수입액 기준 (단위:백만 달러) 수입량 기준 (단위:천톤)
수입액 기준 수입량 기준

○ 수입산 대두는 직수입(53.5%) 또는 수입추천 대행기관(13.5%), 수입상사(10.8%)를 통한 구매가 주를 이루고 있음.

식음료 제조업체의 수입산 대두 구매처별 비중(2019)
구 분 비중(%) 구 분 비중(%)
도매 시장 1.1 수입추천 대행기관 13.5
직수입 53.5 원청업체 0.6
수입상사 10.8 기타 6.2
중간도매/ 밴더업체 14.3 합 계 100.0
자료: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9)

□ 대두는 수입단가와 산지수매가격이 매우 큰 차이를 보이지만, 국내 도매시장에서의 판매가격 차이는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음.
○ 대두의 수입단가는 kg당 약 5백 원 전후, 산지수매가격은 4천 원 전후로 연도마다 차이는 있지만 국산의 단가가 수입산의 7배에서 9배로 나타남.

국산콩과 수입콩의 단가 차이(단위: 원/kg)
연도 2016 2017 2018 2019 2020
산지수매가(A) 3,868 3,868 4,011 4,200 4,500
수입단가(B) 543 493 524 509 494
A/B(%) 7.1 7.8 7.7 8.2 9.1
주. 원/달러 환율은 2016~2020년 각각 1207.7, 1070.5, 1115.7, 1156.4, 1086.3임.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기획재정부, 양정자료

○ 반면 도매시장판매가격에서는 국산과 수입산의 가격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 이는 수입콩의 도매시장 가격이 콩의 높은 관세율(487%)를 반영하였기 때문임.

국산과 수입산 대두의 도매시장 판매가격(단위: 원/kg)
연도 2016 2017 2018 2019 2020
국내산(A) 5,000 4,749 5,166 5,389 5,843
수입산(B) 3,126 3,166 3,229 3,977 3,784
A/B 160% 150% 160% 136% 154%
주. 중품 백태 기준
자료: aT KAMIS

○ 다만 대부분의 수입물량은 도매시장을 거치지 않고 WTO TRQ 저율관세(5%)로 실수요자 배정방식으로 수입되고 있어, 국산 콩의 가격경쟁력은 매우 열위에 있다고 할 수 있음.
- 콩의 WTO TRQ 물량은 연간 1백만 톤 수준으로, 2016~2020년 기준으로 연간 수입 물량의 약 80% 수준에 해당함.

□ 대두(콩)과 관련한 상품은 일반식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두를 원료로 한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도 판매되고 있음.
○ 원물과 양념/소스, 음료, 가공식품 등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각각 가장 많으며, 이외 대두를 원료로 한 반려동물식품, 대체육 등의 상품이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음.
- 반려동물 사료의 경우 시저, 한국마즈 등의 제조사가 콩이 함유된 사료, 간식, 영양제 제품을 판매 중임.
- 햄, 소세지, 패티 등 대체육 상품 역시 온라인에서 어렵지 않게 구매할 수 있음.

국내 콩 관련상품 판매 동향
건강기능식품 가공식품 대체육 양념/소스
캡슐, 정 건강즙/환 건강영양식
캡슐, 정 건강즙/환 건강영양식 가공식품 대체육 대체육 양념/소스 양념/소스
자료: 다나와(가격비교사이트)검색, 2021.7.15. 기준

○ 특히 대두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이 건강기능성 식품, 대체식품, 화장품 등 그린바이오 산업 분야의 소재로 활용됨.
- 이소플라본은 천연적으로 콩에 존재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일종으로 현재까지 암, 폐경기증후군, 심혈관 질환과 골다공증을 포함하는 호르몬 의존성 질병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며, 이미 갱년기 여성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
- 대두의 레시틴은 영양소의 흡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노폐물의 배출,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식약처의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품목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자주 사용되고 있음.

대두(콩) 이용 기능성식품 소재화 사례
대두추출물 포함 건강기능식품 대두레시틴 포함 건강기능식품
대두추출물 포함 건강기능식품 대두레시틴 포함 건강기능식품
자료: (좌) 풀무원생활건강 홈페이지, (우) 내츄럴플러스 홈페이지

- 대두의 이소플라본은 피부 항노화, 미백에도 효과가 있고, 발효 콩에서 생성되는 성분인 ODI(Ortho-Dihydroxyisoflavone)는 보습, 항산화, 미백, 항노화 등 피부개선에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음.

대두(콩)의 화장품 소재화 사례
대두추출물 포함 화장품 대두추출물 포함 화장품
대두추출물 포함 화장품 대두추출물 포함 화장품
자료: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

□ 콩의 주요 성분, 재배 특성, 또는 소비자 선호도에 적합한 품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짐.
○ 콩 종자에서 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간 차이가 있는데, 주로 나물용 콩, 장류·두부용 콩, 밥밑용 유색콩, 풋콩 순으로 많음.
○ 이지혜 외 (2018)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9개의 콩 품종(태광, 대원, 새단백, 진풍, 대찬, 미소, 청미인, 청자3호, 소청자)에 대한 일반 및 기능성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음.
- 새단백 품종의 단백질 함량이 일반 품종(40%)보다 훨씬 높은 46%로 측정됨.
- 노화 억제, 성인병 예방, 내분비기능 강화, 피부 탄력 유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토코페롤(비타민E)은 진풍 품종에서 가장 높게 측정됨.
- 이소플라본 함량은 진풍 품종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다른 품종에 비해 두배 이상임.
○ 농촌진흥청 2019년도 주요 연구성과에서 산업화 소재용 국산콩 품종 이소플라본 함량 분포를 비교해봤을 때, 장류·두부용 품종 중에서는 ‘대풍’, ‘대풍2호’, ‘새금’, ‘우람’, ‘진풍’이, 소립 나물용 품종 중에서는 ‘소원’, ‘신화’, 소록‘, ’해원’ 등이 종자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았음.
○ 농촌진흥청에서 콩 산업화를 위한 소비자 선호 고품질 품종을 개발하고자 콩 비린내에 관여하는 Lipoxygenase-1, -2, -3 효소를 제거한 ‘미소’를 개발함.

□ 품종개량뿐만 아니라 콩의 기능성소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임.
○ 아모레퍼시픽에서 이소플라본 활용 및 발효콩에서 생성되는 ODI(Ortho -Dihydroxyisoflavone)의 발굴 관련 연구를 진행함. 극미량밖에 존재하지 않아 활용이 어려운 ODI 성분을 바이오컨버젼 기술을 통해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

대두 기능성 성분
구 분 효능 및 역할, 성분
단백질
(Protein)
· ㄱ비만의 주된 요인 동물성 식품의 과다 섭취가 제기되는 가운데 식물성 식품인 콩의 기능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대두의 담백질 영양성분 비율은 약 40%임
올리고당
(Oligosaccharide)
· 대두 올리고당은 콩 중에 함유되어 있는 가용성 올리고당을 총칭하며, 대두 중 스타키오스는 약 4%, 라피노오스는 약 1% 함유됨.
· 대두 올리고당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인체의 장내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장내 유익균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기능이 있기 때문임
식이섬유소
(Dietary fiber)
· 대두의 수용성 식이섬유소는 대장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대장세포의 주요 영양원으로 작용하는 단쇄지방산 생성 및 콜레스테롤 흡착 등의 기능이 있으며,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장내 기능을 증진시켜 배변비에 효과적임
이소플라본
(Isoflavone)
·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 반응의 자극, 항암 작용 등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지면서 기능성 성분으로 각광받고 있음 
· 유해성분을 흡착해서 독성작용을 감소시키므로, 음식물 속에 함유된 발암물질이나 체내에서 생성된 발암물질이 희석되고 단기간에 배설되기 때문에 대장암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킴
사포닌
(Saponin)
·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 반응의 자극, 항암 작용 등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지면서 기능성 성분으로 각광받고 있음 
· 유해성분을 흡착해서 독성작용을 감소시키므로, 음식물 속에 함유된 발암물질이나 체내에서 생성된 발암물질이 희석되고 단기간에 배설되기 때문에 대장암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킴
레시틴
(Lecithin)
· 레시틴은 영양소의 흡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노폐물의 배출 등 대사에 관여하고, 콜레스테롤 가용화에 관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또한 당뇨병의 예방, 신장기능 유지, 간기능 정상화, 소화성 향상, 뇌기능 향상과 노인성 치매 예방 등의 효과가 있음 
· 레시틴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건강기능성 물질로, 콩 레시틴 성분은 콜레스테롤 개선 및 두뇌 영양공급으로 표기가 허용됨
피틴산
(Phytic acid)
· 두류나 곡류의 외피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피틴산의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지질 저하 작용 등이 밝혀짐
트립신 저해제
(Trypsin inhibitor)
· 항산화 효과가 있는 트립신 저해제는 체내 세포에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을 막고, 그로 인해 세포들이 산화적 손상을 받아 변형된 세포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짐
피니톨
(Pinitol)
· 세포 내에서 galactosamine과 인슐린 신호전달체를 형성하여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항당뇨 기능이 있음
자료: 한국식품과학회 대두가공이용분과(http://www.soynet.org/Research/KiNeung.aspx?Contents=S_01_2_1.html&Tot=9&Cur=1 (2021.7.31. 접속)

○ 콩 관련 제품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이 사료나 퇴비로만 이용이 되고 있어서 기능성 산업 소재화 시 부가가치 증대가 가능함.
-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콩 가공 부산물인 배아를 발아시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물질을 증대시킨 ‘발아배아’를 개발하여 특허 출원 및 논문 게재함.
- 발아배아에서 이소플라본 28% 증가, GABA 함량 27배 이상 증가함.
- 부산물 배아에서 이소플라본과 사포닌 동시 다량 분리법 개발하여 특허 출원함.
○ 최근 미국의 석유 기업인 셰브론(Chevron)이 콩에서 추출한 바이오 연료 개발에 투자한다고 보도됨.
- 식물성 오일과 동물성 지방, 폐식용유 등을 이용한 차세대 에너지원 물색 중이며 기존의 농산물 재배 기업과 협력을 맺어 설비 투자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자 함.
○ 대체육 시장이 커짐에 따라 콩으로 육류의 식감, 맛, 영양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내에선 제이영헬스케어, 바이오믹스, 해외에선 임파서블 푸드, 비욘드미트가 관여함.
○ 대두 펩타이드 루나신(Lunasin)이 암 세포증식억제와 같은 항암 활성을 가져 항암제, 고기능성 식품으로 이용 가능함.
- 콩으로부터 루나신 펩타이드 분리, 정제 방법을 구축해 특허 출원 했으며 이에 대한 암세포 억제 효과에 따른 유용성을 연구함.

□ 콩은 미량 기능성성분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경우 수입콩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획득할 가능성이 있음.
○ 수입콩은 일반적으로 기능성성분에 중점을 두고 육종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물학적인 한계치에 비해 낮은 기능성성분을 가짐.
○ 따라서 성분함량이 높은 품종을 개발할 경우, 일반적인 식품 용도보다 수입산 대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가격경쟁력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따라서 기능성성분을 목표로 한 대두의 품종개량 및 보급을 통해 농가소득을 증진하는 정책이 요구되며,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그린바이오 사업체가 산학협력방식으로 품종개량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모델의 구축이 필요함.
○ 일반적으로 농촌진흥청 등 공공기관에 의하여 추진되는 품종개량사업은 시장현황을 조사하고 이에 맞추어 품종을 개발한 후 농가를 대상으로 보급을 진행함.

일반적인 종자 개발의 사업 흐름도(예시)
일반적인 종자 개발의 사업 흐름도(예시)

○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기업 내부정보 제공의 어려움’, ‘품종개발에 대한 수요자 요구사항 반영의 한계’, ‘농가의 판로개척 문제’ 등으로 인해 그린바이오 산업 특화 품종 개발 및 이용이 어려움.
- 시장조사 단계에서부터 생물학·화학적으로 전문적인 내용들이 연관되며, 이는 동시에 기업의 내부자료이므로 정확한 답변을 제공받기 어려울 수 있음.
- 개발 단계에서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지는 않기 때문에 세부적인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 기능성물질 특화 품종은 일종의 틈새시장을 위한 상품이기 때문에, 판로가확보되지 않는다면 농가 보급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 많은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기능성물질 시장에 대응하는 데 부적절함.

○ 개별 업체가 산학협력을 수행하여 개발한 품종을 사용하여 계약재배를 실시하는 모델을 선택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을 것임.
- 업체가 직접 관여하므로 산업현장에 맞는 품종을 개발하기 쉬워짐.
- 연구 과정에서 업체가 품종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함께 습득하기 때문에 향후 계약재배에서 품종을 이용하기가 용이해짐.
- 이러한 흐름도에서는 업체가 농가에 직접적으로 계약재배를 의뢰하게 되므로 품종의 특수성으로 인한 보급 지연 문제가 해결됨.

기능성 콩 품종 개발의 적합한 사업 흐름도(예시)
기능성 콩 품종 개발의 적합한 사업 흐름도(예시)

□ 또한 신품종의 성분원료를 활용하는 일반식품에도 기능성 표시제도를 활용하여 소비확대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
○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0-129호(「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로 보지 아니하는 식품등의 기능성 표시 또는 광고에 관한 규정」제정고시)에 따라, 일부 고시원료의 경우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에 도 첨가하여 광고하는 것이 허용됨.
○ 2021년 11월 현재 기능성 원료 중 29가지가 일반식품에 사용할 경우에도 기능성 표시가 가능하며, 향후 사용 가능 원료의 범위가 늘어날 전망임(표 참조).
- 현재 일반식품에 사용하여 기능성 표시를 할 수 있는 기능성원료는 인삼, 홍삼, 대두식이섬유 등 29종이 해당함.

일반식품에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원료 또는 성분
순번 기능성원료 또는 성분 기능성 내용
1 인삼 면역력 증진·피로 개선·뼈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 홍삼 면역력 증진·피로개선·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름·항산화·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3 클로렐라 피부건강·항산화·면역력 증진·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4 스피루리나 피부건강·항산화·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5 프로폴리스 추출물 항산화·구강에서의 항균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구강 항균작용은 구강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형태
6 구아바잎 추출물 식후 혈당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7 바나바잎 추출물 식후 혈당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8 EPA 및 DHA 함유 유지 혈중 중성지질 개선·혈행 개선·건조한 눈을 개선하여 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9 매실추출물 피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0 구아검/구아검가수분해물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식후 혈당상승 억제·장내 유익균 증식·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1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식후 혈당상승 억제·혈중 중성지질 개선·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2 대두식이섬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식후 혈당상승 억제·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3 목이버섯식이섬유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4 밀식이섬유 식후 혈당상승 억제·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5 보리식이섬유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6 옥수수겨식이섬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식후 혈당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7 이눌린/치커리추출물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식후 혈당상승 억제·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8 차전자피식이섬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9 호로파종자식이섬유 식후 혈당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0 알로에 겔 피부건강·장건강·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1 프락토올리고당 장내 유익균 증식 및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2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배변활동 원활·장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3 홍국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4 대두단백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5 폴리감마글루탐산 체내 칼슘흡수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6 마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7 라피노스 장내 유익균의 증식과 유해균의 억제 도움을 줄 수 있음, 배변활동을 원활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28 분말한천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9 유단백가수분해물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 해당 원료들은 일반식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량 섭취해도 문제가 없는 경우로 기존 기능성 원료 중 일부만이 인가된 것이며, 식약처의 설명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미국, 일본 등과 같이 ‘사전신고제’ 영업자가 신규 개발 원료의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출하면 식약처가 직접 검토한 후 시판하도록 하는 제도 를 도입해 신규 원료의 사용 범위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함.
- 현재 풀무원녹즙, 씨제이제일제당, 롯데푸드 등에서 개발한 제품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음.

실제 제품화된 기능성 표시 일반식품의 예시
실제 제품화된 기능성 표시 일반식품의 예시
자료: 풀무원녹즙.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날개 단 식품업계 (식약일보 2021.5.25.) http://www.kfdn.co.kr/52002 에서 재인용.

○ 이에 따라 향후 기능성원료 추출을 목적으로 개발한 대두 품종들이 고부가가치 가공식품 생산용도로 납품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해당 제도를 활용하면,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한 대두가 많이 포함하는 기능성성분을 제품에 표시할 수 있음.
- 이 경우 비단 화장품 및 건기식 영역 밖으로 대두 신품종의 활용을 넓힐 수 있어, 대두의 고소득작목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실제 제품화된 기능성 표시 일반식품의 예시
기능성 표시를 적용한 일반식품의 목록(일부발췌)
자료: 한국식품산업협회 홈페이지
( 출처: 농식품 수입대체 유망 전략품목 활용을 위한 심층조사 및 분석 연구('22.12월) )